분류 전체보기 98

23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네트워크 계층 구성, 웹 구성, http, 등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대략적인 네트워크 및 웹 구성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대략적인 틀에 더한 디테일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가능한 부분도 있고 어려운 부분도 있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간단히 적기에는 너무 많다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주말에 시간을 가지고 네트워크 내용을 쭉 정리할 예쩡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60 네트워크를..

22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순열, 조합, 멱집합 등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전부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X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90 문제를 미리 다 풀어버려서 거의 다른공부만 했다.

[Java] ArrayList<String[]> 정렬

멱집합 문제를 풀다가 문자열 배열을 원소로 가지는 어레이리스트를 정렬해야되는 문제가 나왔다. 처음에는 스트림 연산으로 정렬하려 했지만 스트림을 잘 몰라서 비교자 생성으로 해결하였다. Comparator 클래스를 상속한 비교자 클래스 생성 코드 // 문자열 배열 정렬 비교자 클래스 public static class StringArrayComparator implements Comparator { @Override public int compare(String[] o1, String[] o2) { return Arrays.toString(o1).compareTo(Arrays.toString(o2)); } } 비교자 사용 코드 // 사용자 지정 비교자로 ArrayList 정렬 Collections.sort(..

java 2022.07.30

21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순열, 조합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순열, 조합의 정의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그래프(트리) 탐색을 이용한 순열, 조합 경우의 수 출력 방법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X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95 진도를 잘못 보고 다음날 분량까지 미리 해버렸다. 월요일에는 다른 공부를 진행하면 될 것 같다.

20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탐욕, 동적, 완전탐색, 이분탐색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전부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자바에서의 해당 알고리즘들의 구현법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X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85 제대로 된 알고리즘 첫 시간이었다. 특히 DP는 오랜만에 다루게 되어서 공간복잡도를 줄이는 접근을 시도하지 못했다. 문제를 꾸준히 풀면서 감각을 다..

19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BFS, DFS, DEQUE, LinkedList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전부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자바에서 각각의 사용법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인접행렬 이외의 구현법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자료를 찾아본다.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90 바코드 문제에서 문법 문제로 인해 시간이 좀 오래 걸렸다. 자바 문법에 빨리 익숙해져야겠다.

18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트리, 그래프, BST 및 전,중,후위 탐색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전부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자바에서 트리 및 그래프 구현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X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90 자바는 컬렉션을 사용하니까 기본적으로 구현된 트리나 그래프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싶었지만 없는 듯 하다.

[Java] Stack Class

자바에서 Stack은 Java.util.Vector클래스를 상속받아 이미 구현되어있다. 주요 메소드및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. E push(E item) : item을 스택에 집어넣는다. E pop() : 스택 최상단의 값을 꺼내서 리턴한다. E peek() : 스택 최상단의 값을 꺼내지 않고 리턴한다. boolean empty() : 스택이 비어있는지 확인한다. int search(Object o) : o가 있으면 스택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o의 인덱스를 반환한다. 없을 경우 -1을 반환한다. 참고 문서 https://docs.oracle.com/javase/7/docs/api/java/util/Stack.html Stack (Java Platform SE 7 ) The Stack class repre..

java 2022.07.25

17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스택, 큐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스택, 큐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자바에서의 스택, 큐 클래스 사용법(주요 메소드)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X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90

16일차 후기

1. 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 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 재귀 및 재귀를 활용한 JSON stringify 구현 실습 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 재귀 2. 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 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 JSON.stringify 메소드 역할 및 구현 방식 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 네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 X 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 X 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점인가요? 90 처음에는 반복문 없이 재귀로만 구현하고 싶었지만 무리인 경우가 존재하여 결국 반복과 재귀를 결합하여 구..